반응형
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839
한자리 숫자가 적힌 종이 조각이 흩어져있습니다. 흩어진 종이 조각을 붙여 소수를 몇 개 만들 수 있는지 알아내려 합니다.
각 종이 조각에 적힌 숫자가 적힌 문자열 numbers가 주어졌을 때, 종이 조각으로 만들 수 있는 소수가 몇 개인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numbers는 길이 1 이상 7 이하인 문자열입니다.
- numbers는 0~9까지 숫자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- "013"은 0, 1, 3 숫자가 적힌 종이 조각이 흩어져있다는 의미입니다.
입출력 예
numbers | return |
---|---|
"17" | 3 |
"011" | 2 |
입출력 예 설명
예제 #1
[1, 7]으로는 소수 [7, 17, 71]를 만들 수 있습니다.
예제 #2
[0, 1, 1]으로는 소수 [11, 101]를 만들 수 있습니다.
- 11과 011은 같은 숫자로 취급합니다.
풀이
순열을 생성하여 해당 수가 소수인지 판별해야 합니다. 순열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itertools
의 permutations
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 반환 형태가 iterator이므로 list()
함수로 감싸 사용합니다.
# nPr = permutations(n, r)
list(permutation("1234567", 2))
# [('1', '2'), ('1', '3'), ..., ('7', '6')]
에라토스테네스 체를 사용하여 소수 여부를 판단합니다. 에라토스테네스 체란 n=2부터 시작하여 일정 범위까지 자신을 제외한 n의 배수를 삭제하면, 남아있는 수는 모두 소수가 된다는 법칙입니다.
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
def solution(n):
# 가능한 수 집합
a = set()
# 순열을 통해 생성한 수 집합과 합집합
for i in range(len(n)):
a |= set(map(int, map("".join, permutations(list(n), i + 1))))
# 0, 1은 소수에서 제외
a -= set(range(0, 2))
# 에라토스테네스 체
for i in range(2, int(max(a) ** 0.5) + 1):
a -= set(range(i * 2, max(a) + 1, i))
return len(a)
numbers = ["17", "011"] # 3, 2
for number in numbers:
print(solution(number))
반응형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압축 [2018 KAKAO BLIND RECRUITMENT - 3차] (0) | 2020.08.31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구명보트 [탐욕법(Greedy)] (0) | 2020.08.31 |
[프로그래머스] 가장 큰 수 [정렬] (0) | 2020.08.31 |
[백준] 4963번: 섬의 개수 (0) | 2020.08.25 |
[프로그래머스] 튜플 (0) | 2020.08.22 |